728x90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독립된 디스크의 복수 배열)
말 그대로 RAID는 여러개의 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디스크 처럼 사용하는 기술
RAID의 정의
- 하드 디스크와 SSD로 사용하는 기술
- 데이터의 안정성 혹은 높은 성능을 위해 여러 물리적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하나의 논리적 보조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술
RAID 0
- 데이터를 단순히 나누어 저장하는 구성 방식
- 각 하드 디스크는 번갈아가며 저장
- 저장되는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개수만큼 나뉘어 저장된다
- stripe : 마치 줄무늬 처럼 분산되어 저장된 데이터
- striping :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
- 장점
- 입출력 속도의 향상 - 단점
- 저장된 정보가 안전하지 않다
RAID 1
- 미러링 : 복사본을 만드는 방식
- 데이터를 쓸 때 원본과 복사본 두 군데에 씀 (느린 쓰기 속도)
- 장점
- 백업 및 복구가 매우 간단하다 - 단점
- 하드 디스크 개수가 한정되었을 때 사용 가능한 용량이 적어짐
- 복사본이 만들어지는 용량만큼 사용 불가 -> 많은 양의 하드 디스크가 필요 -> 비용 증가
RAID 4
- (RAID1처럼 완정한 복사본을 만드는 대신)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
- 패리티 비트 : 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하기 위한 정보
- 패리티를 저장한 장치를 따로 두는 방식
RAID 5
- 패리티를 분산하여 저장하는 방식
RAID 6
- 두 종류의 패리티(오류를 검출하고 복구할 수 있는 수단)를 두는 방식
- R4,R5보다 안전한 구성이다
- 새로운 정보를 저장할 때마다 함께 저장할 패리티가 두 개 이므로, 쓰기 속도는 R5보다 느리다
- 데이터 저장 속도를 조금 희생하더라도 데이터를 더욱 안전하게 보관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식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출력장치에 대해 Araboza!! (1) | 2023.02.04 |
---|---|
보조 기억 장치 (0) | 2023.02.03 |
캐시 메모리 (0) | 2023.02.03 |
메모리의 주소 공간 (0) | 2023.02.03 |
메모리 & 캐시 메모리 - RAM의 특징과 종류 (0) | 2023.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