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DB

데이터베이스(DB)의 구조

1. 스키마와 인스턴스 스키마 :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을 정의한 것 - 고객 번호(int) , 이름(CHAR(10)), 나이(int) 등등.. 인스턴스 : 스키마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실제로 저장된 값 2. 데이터베이스의 3단계 구조 외부단계 개별 사용자 관점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이해하고 표현 한다 (ex - 아파트를 볼때 세입자의 관점) 외부 단계에서 사용자에게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정의 한것을 '외부 스키마' 라고 한다 데이터베이스 하나에 외부 스키마가 여러 개 존재할 수 있음 각 사용자에 따라 외부 스키마는 달라질 수 있다. 개념단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관점을 통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조직 전체의 고나점에서 이해하고 표현한다 (ex-아파트의 관리자 경비원) 데이..

DB

데이터베이스(DB)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과거에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했다 문제점 ! 같은 내용의 데이터가 중복 저장 된다. 응용 프로그램ㅇ이 데이터 파일에 종속적이다 - 파일의 어떠한 부분을 변경,추가 하려면 관련된 모든 응용프로그램에서 파일에 접근하는 방법을 변경해야한다 데이터 파일에 대한 동시 공유,보안,회복 기능이 부족하다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쉽지 않다 그래서 등장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란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여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시스템이다. 응용 프로그램을 대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삽입,삭제,수정,검색하고 모든 응용 프로그램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 할 수 있게 한다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주요 기능 정의 ..

DB

데이터 베이스(DB)의 필요성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 : 현실세계에서 단순히 관찰하거나 측정해 수집한 사실이나 값 (가공하지 않은 값) 정보 : 의사 결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처리한 결과물 (데이터를 가지고 유의미하게 만듬) 정보 시스템과 데이터 베이스 정보 시스템 : 조직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해두었다가 필요할 때 유용한 정보를 만들어 주는 수단 데이터 베이스 : 정보 시스템 안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가 필요할 때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 Tip : 데이터베이스는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합'해서 저장한 '운영'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공유 데이터 : 특정 조직의 여러 사용자가 함께 소유하고 이용할 수 있는 공용 데이터 통합 데이터 : 최소의 중복과 통제..

컴퓨터 구조

입출력장치에 대해 Araboza!!

장치 컨트롤러와 장치 드라이버 들어가기 앞서, 입출력장치는 CPU,메모리보다 다루기가 더 까다롭다!! 첫째, 입출력장치에는 종류가 너무 많다 둘째, 일반적으로 CPU와 메모리의 데이터 전송률은 높지만 입출력장치의 데이터 전송률은 낮다 위의 이유로 장치 컨트롤러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 된다 장치 컨트롤러의 역할 CPU와 입출력장치 간의 통신중개 (일종의 번역가 역할 수행) 오류 검출 데이터 버퍼링 - 버퍼링 : 전송률이 높은 장치와 낮은 장치 사이에서 주고받는 데이터 - 버퍼라는 임시 저장 공간에 저장하여 전송률을 비슷하게 맞추는 방법 장치 컨트롤러의 역할 버스에 연결 되어서 데이터 레지스터,상태 레지스터,제어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 레지스터 - CPU와 입출력장치 사이에 주고받을 데이터가 담기는 ..

컴퓨터 구조

RAID란 무엇일까?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독립된 디스크의 복수 배열) 말 그대로 RAID는 여러개의 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디스크 처럼 사용하는 기술 RAID의 정의 하드 디스크와 SSD로 사용하는 기술 데이터의 안정성 혹은 높은 성능을 위해 여러 물리적 보조기억장치를 마치 하나의 논리적 보조기억장치처럼 사용하는 기술 RAID 0 데이터를 단순히 나누어 저장하는 구성 방식 각 하드 디스크는 번갈아가며 저장 저장되는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개수만큼 나뉘어 저장된다 stripe : 마치 줄무늬 처럼 분산되어 저장된 데이터 striping : 분산하여 저장하는 것 장점 - 입출력 속도의 향상 단점 - 저장된 정보가 안전하지 않다 RAID 1 미러링 : 복사본을 만드는 방식 데이터..

컴퓨터 구조

보조 기억 장치

하드디스크 자기적인 방식으로 데이터 저장 플래터 : 실질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되는곳은 동그란 원판. 수많은 N극과 S극을 저장한다(0,1의 역할 수행) 스핀들 : 플래터를 회전시키는 구성요소 RPM : 스핀들이 플래터를 돌리는 속드를 분당 회전수로 나타냄 헤드 : 플래터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구성 요소. - 미세하게 떠 있는 채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마치 바늘같이 생긴 부품 - 디스크암에 부착되어 있다 하드 디스크 - 저장 단위 플래터는 트랙과 섹터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 하나 이상의 섹터를 묶어 블록이라고 표현하기도 함 실린더 : 플래터는 트랙과 섹터로 나뉘고, 같은 트랙이 위치 한 곳을 모아 연결한 논리적 단위 하드 디스크- 데이터 접근 과정 하드 디스크가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는 ..

컴퓨터 구조

캐시 메모리

저장 장치 계층 구조 CPU와 가까운 저장 장치는 빠르고, 멀리 있는 저장 장치는 느리다 속도가 빠른 저장 장치는 저장 용량이 작고, 가격이 비싸다 캐시 메모리 CPU와 메모리 사이에 위치한, 레지스터보다 용량이 크고 메모리보다 빠른 SRAM 기반의 저장장치 CPU의 연산 속도와 메모리 접근 속도의 차이를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 탄생 "CPU가 매번 메모리에 왔다 갔다 하는 건 시간이 오래 걸리니, 메모리에서 CPU가 사용할 일부 데이터를 미리 캐시 메모리로 가지고 와서 쓰자" 메모리에 접근 = 물건을 사러 가는것 메모리 = 물건은 많지만 집과는 멀리 떨어져 있어 왕복이 오래 걸리는 대형마트 캐시 메모리 = 물건이 많지는 않아도 집과 가까이 있는 편의점 계층적 캐시 메모리 (L1-L2-L3 캐시) - 숫..

컴퓨터 구조

메모리의 주소 공간

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 cpu와 실행중인 프로그램은 메모리 몇 번지에 무엇이 저장되어 있는지 다 알지 못한다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은 시시각각 변하기 때문이다 새롭게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새롭게 보조기억장치로부터 메모리에 적재 실행이 끝난 프로그램은 메모리에서 삭제 같은 프로그램을 실행하더라도 실행할 때 마다 적재되는 주소는 달라짐 물리 주소 메모리 입장에서 바라본 주소 말 그대로 정보가 실제로 저장된 하드웨어상의 주소 논리 주소 CPU와 실행 중인 프로그램 입장에서 바라본 주소 실행 중인 프로그램 각각에게 부여된 0번지부터 시작하는 주소 물리 주소와 논리 주소의 변환(MMU) MMU라는 하드웨어에 의해 변환 ex) CPU - (논리주소) - MMU - (물리주소) - 메모리 MMU는 논리 주소와 베이스 레..

맹수호빵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1 Page)